2009. 1. 21. 15:32

지방이 필요한 이유

운동을 할 때 근육이 사용되는데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원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탄수화물과 지방이다.

그렇다면 탄수화물과 지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운동을 할 때 에너지원으로 탄수화물은 1g에 4kcal를 지방은 9kcal의 열량을 방출한다. 그리고 탄수화물은 몸속에 몇백g 정도 밖에 저장하지 않는 반면에 지방은 몇십kg이 피하와 내장에 저장 가능하다. 탄수화물은 세포내에서 글리코겐이라는 형태로 저장이 되는데 글리코겐은 세포내에 약 15% 정도 밖에 저장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머지는 다른 기능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방세포는 저장소의 85%가 지방이라는 형태로 저장이 가능하다. 지방은 적은 양으로 높은 칼로리를 낼 수 있고 단백질과 글리코겐은 당장 사용되지 않으면 지방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지방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기능 이외에 체내의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이는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Laptin)의 발견에 의해서 밝혀졌다. 지방세포는 백색과 갈색지방세포 2가지가 있는데 이중 백색지방세포에서 랩틴이 분비된다. 랩틴은 지방세포에서의 지방의 축적여부를 알리는 호르몬이다. 체내의 에너지대사를 조절하고 있는 뇌의 시상하부는 혈중에 충분히 분비된 렙틴의 농도를 관찰하고 이에 반응하면서 식사량이나 에너지소비를 조절한다.

예를들면, 지방분이 많이 섭취되면 렙틴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이런 상황에서 시상하부는 교감신경을 통해 에너지를 유지하려는 대사력을 늦춘다. 즉 식욕을 억제시켜 에너지섭취를 감소시켜 갈색지방세포나 근육의 활동을 자극시켜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지방이 감소하면 렙틴분비량도 감소되어 시상하부가 에너지를 유지하려는 대사력을 증가시킨다. 이와같이 어느정도 일정한 체지방량을 축적시킴으로써 체중을 유지하려고 하는 메카니즘에 의해 우리 인체의 대사가 유지가 된다.

지방세포는 랩틴의 반응정도에 관련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신호를 보냄으로써 에너지대사를 조절한다. 여성호르몬의 일부도 지방세포로 활성화됨으로써 그 기능들을 발휘한다. 체지방율이 저하되면 여성이 매달 겪는 월경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않는데 이는 지방이 부족함에 따라 여성호르몬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럼 랩틴에 의해서 지방의 사용량이 조절이 되는데 왜 비만이라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이는 랩틴의 분비량이 증가하더라도 어떤 이유에 의해서 에너지대사의 조절기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정확히 어느 부분에서 기능이 상실되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비만이라는 것을 막지못하는게 아닐까? 이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해 자신이 목표로한 체지방량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수 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