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0. 31. 13:20

Windows 안전 모드에서 로드되는 드라이버

안전 모드는 여기에 표시된 기본 드라이버와 서비스만 사용하여 Windows를 시작합니다.
이러한 항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IT 전문가를 위한 Microsoft 웹 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안전 모드에서 시작되는 장치 및 드라이버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내부 및 USB)
    •  내부 CD-ROM 드라이브(ATA, SCSI)
    •  외부 CD-ROM 드라이브(USB)
    •  내부 DVD-ROM 드라이브(ATA, SCSI)
    •  외부 DVD-ROM 드라이브(USB)
    •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ATA, SATA, SCSI)
    •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USB)
    •  키보드(USB, PS/2, 직렬)
    •  마우스(USB, PS/2, 직렬)
    •  VGA 디스플레이 카드(PCI, AGP)


안전 모드에서 시작되는 Windows 서비스

    •  Windows 이벤트 로그
    •  플러그 앤 플레이
    •  원격 프로시저 호출
    •  암호화 서비스
    •  Windows Defender
    •  WMI(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에서 시작하는 네트워크 관련 장치 및 서비스
    •  네트워크 어댑터(유선 이더넷 및 무선 802.11x)
    •  DHCP(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  DNS
    •  네트워크 연결
    •  TCP/IP NetBIOS Helper
    •  Windows 방화벽

 

 

2010. 8. 4. 16:12

CMOS와 BIOS의 차이

흔히들 CMOS와 BIOS를 혼동하곤 한다. 컴퓨터 부팅하면서 부팅순서나 연결 장치들의 정보를 보기위한 파란 화면을 CMOS 세팅 또는 BIOS 세팅을 하기 위한 창이라고 이야기 하곤 한다. 둘의 단어적인 의미만 보아도 전혀 다른 두 개의 용어가 왜 혼동되어 비슷하게 사용되고 인식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자.


CMOS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는 한글로 표기하면 상보성 금속산화막 반도체라고 한다. '씨모스'라고 불리는 말에 비해 참으로 어렵다. 쉽게 말해 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기술의 하나이다. 이러한 CMOS 기술은 CPU, microcontroller, static RAM 과 같은 디지털 논리 회로에 쓰인다. 더이상 CMOS에 대한 기술을 언급하는 것은 전자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것 같다.

그렇다면 이러한 반도체와 컴퓨터 시스템에서 흔히 말하는 CMOS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컴퓨터 메인보드를 살펴보면 RTC/NVRAM이라고 불리우는 CMOS chip이 존재한다. 메인보드 수은 건전지 옆에 존재하는 이 chip이 CMOS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그냥 그렇게 불리어온 것이다. 수은 건전지는 CMOS battery라고 하는데 시스템이 꺼진 경우에도 RTC/NVRAM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그럼 CMOS 의 핵심인 RTC/NVRAM은 대체 어떤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까?
RTC(Real-Time Clock)은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저장하고 있고 NVRAM(Non-Volatile RAM)은 비휘발성 램으로 메모리 크기, 드라이브(플로피 및 하드 등) 타입, 부팅 순서 및 구성 정보 등의 CMOS data를 저장하고 있다.


BIOS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은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사이의 입출력을 담당하기 위해 저수준의 소프트웨어와 드라이버로 이루어진 펌웨어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운영체제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와 같은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해 중간 매개체를 사용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운영체제는 세부적인 하드웨어의 구성이나 신호체계를 알 필요없이 중간 매개체와만 통신하면 된다. 이러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BIOS이며 이것은 하드웨어가 제조될 때 제조회사에서 하드웨어에 포함시켜 둔다.

하드웨어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도 유지되야 하므로 ROM을 사용한다. 흔히 메인보드의 BIOS를 ROM BIOS라고 부른다. 이것은 메인보드 뿐만아니라 SCSI, VGA에도 포함되어 제조된다.


CMOS vs BIOS
그렇다면 이제 왜 CMOS와 BIOS가 혼동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부팅하면서 부팅 설정을 하기 위한 파란 화면에 뜨는 내용들은 실제 CMOS(RTC/NVRAM)에 저장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파란화면을 뜨게 하는 프로그램(유틸리티)는 ROM BIOS에 존재한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을 부팅하면서 F1, F2, ESC, Delete(제조 회사마다 차이)들의 키를 누르게 되면 ROM BIOS에 포함된 BIOS 설정 유틸리티가 CMOS의 내용을 읽어와 설정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것이다.

2010. 8. 3. 17:23

파일 시스템이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드라이브의 속성을 보면 NTFS, FAT32, FAT 등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 NTFS, FAT32, FAT과 같은 것들을 파일 시스템이라고 말하는데요, 파일 시스템은 파티션/드라이브의 포맷 형식입니다.

Windows에서는 'NTFS(NT File System)''FAT(File Allocation Table)' 이렇게 두 종류의 파일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FAT는 Windows의 이전 OS인 MS-DOS시절부터 사용되어온 시스템으로 초기에는 파일명을 설정하는데에도 엄격한 제한이 있었다고 합니다. FAT은 보통 FAT16을 지칭합니다.

FAT16은 디스크의 작은 단위인 클러스터를 2의 16승인 65536개로 분할해서 관리했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대용량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디스크의 용량도 점점 커지게 되었습니다. FAT16 시스템으로 관리의 효율이 떨어지고, 용량이 2GB를 넘는 하드 디스크는 반드시 파티션을 여러개로 나누어야 하는 제한이 있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한 방식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FAT32 시스템입니다. 65536개의 클러스터로 데이터를 관리하던 FAT에 비해 2의 32승인 약 42억개의 클러스터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Windows ME까지 OS의 표준 파일 시스템으로 도입되었던 시스템이기도 합니다. FAT 시스템의 특징은 다양한 OS에서의 인식이 가능해 USB 메모리 등 외장형 하드 형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만, 한 파일의 사이즈가 4GB를 넘는 파일은 관리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고화질 동영상 파일이 보통 4GB를 넘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들은 저장 할 수 없다는 얘기가 되겠지요.


NTFS는 Windows NT이후에 발표된 Windows계열 OS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입니다. NTFS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NTFS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는 서버에서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시스템으로, 각 파일 또는 디렉토리마다 ACL(Access Control List)에 의한 접속 권한 설정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Windows 2000이후에 발표된 NTFS 5.0버전은 JFC(Journaling File System) 시스템의 기능이 도입되어 예상치 못한 정전등의 사고로 인해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최소화로 줄였습니다.

3. 1 볼륨에 대한 권장 사이즈가 2TB까지이지만, 실제로는 그 이상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4. 파일을 B+트리 구조로 관리를 하고 있어, 대량의 파일이 존재하더라도, 검색 및 접속의 속도 저하가 적은 편입니다.

5.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압축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NTFS시스템의 하드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파일을 압축해서 디스크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있게 해 줍니다. 물론 사용자는 거의 의식을 안 해도 되고요. 용량이 작은 파일이나 생성되는 과정에서 압축되는 사진, 동영상등 이른바 미디어 파일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하지만, 대용량 파일을 주로 관리를 하는 곳에서는 편리한 기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위에서 적은 설명을 놓고 보면 NTFS 시스템으로 전부 전환해서 사용하면 될 것 아닌가 하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실 겁니다.
사실 두 시스템을 비교해 보면 파일을 읽어 들이는 속도나 전송속도를 보면 단연 NTFS 시스템의 성능이 뛰어납니다. 아니, 비교도 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내장형 HDD의 경우는 FAT32를 사용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고 자신있게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장형 HDD는 FAT32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다양한 OS에서 인식이 가능한 FAT32시스템과 달리 NTFS는 인식이 가능한 OS에 제한이 있습니다. HDD를 사용하는 환경에 맞춰서 파일 시스템을 설정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파일 시스템을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FAT32 시스템인 D드라이브를 NTFS 시스템으로 변환하려고 한다면 [시작]-[실행] 또는 [윈도우키]+R 버튼을 눌러서 'convert DRIVE_NAME: /fs:ntfs'의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가령 D드라이브의 파일 시스템을 변경하신다면 'convert D: /fs:ntfs'를 입력해서 Enter키를 누르는 것으로 변환 끝!
반대로 NTFS에서 FAT32시스템으로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2010. 1. 3. 15:49

Windows 7 에서 telnet 사용법

Windows 7 Home Premium 을 쓰고 있는데 telnet을 접속할려니 내부 명령어가 아니는 메세지가...

telnet은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지 않는 것 같다. 순간 당황 ㅡㅡ;; 급하게 할게 있어서...

putty라는 telnet 접속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작업을 끝낸 후에 원인을 찾으려 다녔다.

설정 방법은 일단
 >>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
 >> 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
 >>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기본은 미체크)

커멘드 창에서 telnet 확인결과 정상 작동!!!
2009. 4. 21. 10:26

'공룡' 오라클,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삼켰다

[지디넷코리아]IBM에 넘어갈듯 하던 썬마이크로시스템즈가 결국 'SW공룡' 오라클의 품에 안겼다. 오랫동안 SW사업에 집중해온 오라클이 마침내 서버와 스토리지 시장에 뛰어드는 것이란 점에서 IT업계 판세 변화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라클은 썬을 현금 74억달러 규모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20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썬 인수로 오라클은 자바 기술과 솔라리스 운영체제(OS)로 대표되는 핵심 SW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서버와 스토리지에 이르는 하드웨어 제품군도 흡수한 만큼 IBM, 휴렛패커드(HP), 델 등과의 일대일 대결도 불가피해졌다.

 

오 라클은 특히 썬이 소유한 자바를 높게 평가하는 모습이다. 래리 엘리슨 오라클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자바를 "지금까지 인수한 가장 중요한 단일 SW자산"이라고 치켜세웠다. 자바에 대한 혁신과 투자를 계속해 나가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오라클 퓨전 미들웨어 제품군은 대부분 자바에 기반하고 있다.

 

오라클은 또 썬 인수를 통해 고객들에게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데이터 스토리지 하드웨어를 번들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상급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와 핵심 컴퓨팅 시스템을 통합한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네번의 분기에서 세번이나 손실을 기록한 썬은 실적 부진을 돌파할 카드로 얼마전부터 매각에 적극 나섰던 것으로 전해졌다. 3월중순까지만 해도 IBM이 썬을 인수할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그러나 IBM은 반독점 규제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이유로 썬 인수에 '회의모드'로 돌아선 것으로 전해졌다.

 

오라클은 상대적으로 반독점 이슈에 걸릴 가능성이 적다. 썬과 겹치는 사업 영역이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오라클은 그동안 썬의 실적이 좋지 않았지만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썬이 첫해에만 회사 영업이익에 15억달러 이상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오라클의 이번 행보에 놀랍다는 반응이 많다. SW에 집중해온 오라클이 느닷없이(?) 하드웨어 시장에 뛰어든 탓이다.

 

오라클은 지난해 HP와 협력해 서버와 데이터웨어하우스(DW)를 통합한 어플라이언스 제품을 내놓기도 했지만 IBM, HP와 사실상 전면전을 의미하는 이번 인수와는 급이 다르다.

 

AMR리서치의 부루스 리차드슨 애널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 회사가 하드웨어 고객 기반을 인수하는 것은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며 오라클의 썬 인수에 쇼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런만큼 그는 오라클이  썬이 갖고 있는 하드웨어 자산을 계속 유지할지 아니면 나중에 매각할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오라클 사프라 캐츠 사장은 "썬 하드웨어 사업은 오라클 내부에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090421073906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시스템이란?  (0) 2010.08.03
Windows 7 에서 telnet 사용법  (1) 2010.01.0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시대가 지는가?  (0) 2009.04.14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0) 2009.04.10
SSD 상식  (0) 2009.04.07
2009. 4. 14. 15:2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시대가 지는가?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 에서 telnet 사용법  (1) 2010.01.03
'공룡' 오라클,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삼켰다  (0) 2009.04.21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0) 2009.04.10
SSD 상식  (0) 2009.04.07
HDD 상식  (0) 2009.04.07
2009. 4. 10. 11:40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쇼핑저널 버즈] 새로 설치한 인터넷 익스플로러8(IE8)이 느리게 느껴진다면 아래 팁을 한번 적용하시면 도움일 될 듯합니다. 특히 많은 탭을 열었을 때 효과가 더욱 크다고 합니다. 'Ed Bott'이 소개한 이 방법은 IE 필수 라이브러리 중의 하나인 'actxprxy.dll' 파일을 수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이 파일이 등록되지 않았거나 서드파티 플러그인으로 손상되었을 경우 IE가 느리게 작동한다고 하네요. IE7에서부터 문제가 많았던 PC에서 효과가 제법 있는 것 같습니다.

윈도 XP

1. 시작→실행

2. CMD 입력하고 엔터

3. 명령 프롬프트에 'regsvr32 actxprxy.dll' 입력


4. 컴퓨터 다시 시작
 

비스타&윈도 7

1. 시작 메뉴 검색창에 CMD 입력

2.  CMD 단축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



3. 명령 프롬프트에 'regsvr32 actxprxy.dll' 입력

4. 컴퓨터 다시 시작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룡' 오라클,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삼켰다  (0) 2009.04.2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시대가 지는가?  (0) 2009.04.14
SSD 상식  (0) 2009.04.07
HDD 상식  (0) 2009.04.07
각종 확장자 파일 모음  (0) 2009.03.30
2009. 4. 7. 11:28

SSD 상식

1. SSD란 무엇인가?


1) SSD란 무엇인가?-- 컴퓨터의 하드웨어(H/W)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SSD라는 것을 들어 봤을 것이다.- SSDSolid State Disk라는 말을 줄인 것인데, 플래터를 스핀들 모터로 돌리면서, 헤드로 정보를 쓰거나 읽는, 전통적인 HDD대신, (플래시 메모리)라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서 하드디스크를 만든 것이라고 보면 된다.- 기존의 HDD와 비교하면, 모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과 열 등이 거의 없고, 전력 사용량도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다가, 읽기, 쓰기 등의 속도도 엄청 빨라져서, (가격) 말고는, 기존의 HDD의 모든 단점을 거의 다 해결한 발명품 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단, 아직은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작업 등,작은 파일을 무수히 써 대는 일을 할 때는 SSD가 조금 느려서 답답한 문제가 있단다. 물론 설치가 끝나고 나면 씽씽 잘 돌아가니까, 쫌만 참으면 되겠다).- 가격은 정말 안드로메다급이라, 2008년 9월 현재, 64GB 짜리SSD의 가격은 700,000원을 넘고 있다. 기존 방식의 HDD 중에서도 고성능 제품이라서 가격이 엄청 비싸다는 웨스턴 디지털 사의 (벨로시 랩터)라는 넘이 74GB 짜리가 170,000원 정도이고, 보통 성능의 HDD는 80GB 짜리가 43,000원(500GB/75,000원)인 걸 감안하면, SSD의 가격이 얼마나 비싼지 짐작될 듯..이 정도 가격도 많이 착해진 것이라서 멀기만한 당신은 아니라리..^^.

2) SSD의 예-- 위의 그림을 보면, 왼쪽은 SSD 하드디스크를 만드는 회사로 제법 명성을 날리고 있는 엠트론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SSD 그림이다. 대충만 봐도 그 외관이 심플하고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 그 오른쪽 그림은 SSD의 내부 메커니즘을 개념적으로 보여준 그림인데, (단, 이 그림은 왼쪽의 엠트론 사의 SSD에 해당하는 그림은 아니다^^), 오른쪽에 쭉 나열되어 있는 검정색의 플래시 메모리들이 데이터 저장을 담당하고, 왼쪽의 파란색 반도체 칩들은 그걸 제어하고, 통신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것들이다.- 즉 SSD는 (저장)용의 (플래시 메모리)와 (컨트롤러)용의 (반도체 칩)으로 구성된, 반도체 칩 덩어리라고 보면 되겠다.


2. 낸드 플래시 메모리란?



1) NAND 회로-- SSD는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 공간으로 쓴다고 했다. 그런데, 그 플래시 메모리라는 건 (낸드(NAND) 논리 회로)를 반도체 칩으로 구현해서 만들어지므로, NAND 회로를 조금이라도 알아야 겠다.- 논리 회로에는 두 개의 입력단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단이 참이 되는 AND 회로,- 두 개의 입력단 중 하나만 참이면, 출력단이 참이 되는 OR 회로,-  참은 거짓으로, 거짓은 참으로 바꿔 주는 NOT 회로,- AND 회로와 NOT 회로를 합쳐서, 입력단 두 개가 모두 참 일 때만 출력단이 거짓이 되는 NAND 회로,- OR 회로와 NOT 회로를 합쳐서, 입력단 두 개가 모두 거짓일 때만 출력단이 참이 되는 NOR 회로 등이 있다.- SSD에서 자료 저장용으로 쓰이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는 이런 논리 회로들 중에서 (NAND 회로)를 무수히 연결해서 만든 반도체 칩 덩어리이므로, SSD를 이해하려면, NAND 회로가 뭔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위의 그림 참고).

2)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a) 메모리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원 공급을 끊었을 때 저장된 데이터가 지워지느냐, 아니면 계속 유지되는냐에 따라서 (휘발성/비휘발성)으로 나뉜다.

b) 휘발성 메모리- 전원 공급을 끊으면, 저장했던 데이터가 전기의 소멸과 함께 모두 사라지는 메모리다.- 대표적인 휘발성 메모리로,  우리가 보통 컴퓨터를 말할 때, 메모리나 램이라고 부르는,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로 쓰이는 DRAM이 있고, 그 성능이 우수해서 CPU의 케쉬 메모리나 수퍼 컴퓨터의 메인 메모리로 쓰이는 SRAM이라는 것도 있다.- 이들 두 RAM의 차이는, DRAM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이 지워져서 그 간격에 맞게 주기적으로 Refresh(재충전)을 해 줘야 하지만, SRAM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한은 기록이 지워지지 않으므로, 그런 리프레쉬 작업을 따로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c) 비휘발성 메모리- 전원 공급이 끊겨도, 저장했던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는 메모리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컴퓨터의 CMOS Setup 정보를 담는 데 쓰이는 ROM이라는 게 있고, 여기에서 말하는 (플래시 메모리)도 비휘발성 메모리다.- SSD가 HDD 대용으로 쓰이려면, 전원을 OFF했을 때도 그 저장 기록이 지워지면 안 되므로, SSD에 쓰이는 플래시 메모리는 당연히 비휘발성 메모리로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메모리라는 것을, 뭔가를 기억시키는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 보면, HDD 등도 비휘발성 메모리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3) 낸드 플래시 메모리와 노어 플래시 메모리

a) 플래시 메모리 분류-비휘발성 메모리의 대표격인 (플래시 메모리)는 다시 어떤 회로를 썼느냐에 따라서, (NAND 플래시 메모리)와 (NOR 플래시 메모리)로 나누어진다.- 참고적으로 말하면, 논리 회로 소자 중에서 NAND 회로와 NOR 회로는, CPU 제작 등에 많이 쓰이는 (조합논리회로)와 메모리 제작 등에 쓰이는 (순서 논리회로) 등, 반도체 칩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거의 모든 회로를 다 구현할 수 있어서 (만능(범용) 게이트)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회로다.

b) NAND 플래시 메모리-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직렬 연결) 방식이고, 회로 집적도가 높아 대용량으로 만들기가 쉽고, 읽기 속도에 비해서 (쓰기 속도)가 빠르단다. - 이렇게 데이터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대용량으로 만들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주로 (저장장치) 용으로 많이 쓰여서, SSD 하드디스크 용의 플래시 메모리로 적격이고, 요즘 하나씩은 다 가지고 있는 휴대용 메모리 카드나 MP3 용의 저장 장치로도 많이 쓰인단다.

c) NOR 플래시 메모리-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병렬 연결) 방식이고, 상대적으로 집적도가 낮아서 대용량으로 만들기가 어렵고, 쓰기 속도에 비해서 (읽기 속도)가 빠르단다.- 연결 구조가 병렬인 (노어 플래시 메모리)는 어드레스 라인과 데이터 라인를 따로 가질 수 있어서, 임베디드 CPU와 직접 연결해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주로 핸드폰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4) SLC 방식과 MLC 방식

a) USB 드라이브나 SSD에 대한 글을 읽다 보면, SLC 방식은 빠르지만, 비싸고, MLC 방식은 느리지만,싸다는 내용을 접할 때가 있다.- 그렇다면, SLC와 MLC란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b) SLC--Single Level Cell의 약자로서, 하나의 Cell에 하나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는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이다.- 그 구조가 간단해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른 반면에, 대용량으로 만드는 데는 불리해서, SLC 방식은 고성능의 비싼 제품에 많이 쓰인다.

c) MLC--Multi Level Cell의 약자로서, 하나의 Cell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도 담을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이다.- 하나의 Cell을 더 세부적으로 나눠서 쓰는 방식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읽고 쓰는 속도는 느리지만, 대용량으로 만들기는 쉬워서 생산 단가가 싸게 먹힌다. 이런특징 때문에 MLC 방식은 조금 덜한 성능의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고용량인 제품에 많이 쓰인다.

 

3. SSD의 내부 구조 보기


1) 그렇다면 SSD의 내부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 위에서도 말했듯이, SSD는 제어에 쓰이는 (컨트롤러) 부분과 자료 저장에 쓰이는 (플래시 메모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위의 그림은 엠트론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SSD 제품의 커버를 벗긴 모습니다. 보면 알겠지만, 그저 반도체 칩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구조에 불과하다.- 모터로 돌아가는 플래터, 보이스코일 모터로 작동되는 헤드(암) 등으로 구성된 기존의 HDD에 비하면 정말 시시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물론 보기에는 간단해 보여도 그 작동 메커니즘이 엄청 정밀하고 복잡함은 말할 것도 없는데, 똑같은 반도체 칩을 쓰고도 성능의 차이를 보이는 건 그런 메커니즘을 얼마나 잘 만드냐의 기술력의 차이이므로, 위 그림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부분 말고, (컨트롤로) 부분은 기술 정보의 보호 차원에서 안 보이게 검정으로 처리했다. - 현재 이 제품의 경우에는 아래쪽 면에 컨트롤러용 반도체 칩이 6~7 개 정도 배치되어 있다.

2) SSD의 용량 계산-- 현재 위의 그림에서 노출시킨 부분이 바로 저장 공간이 되는 플래시 메모리들이다. 위 제품은 2GB 짜리 플래시 메모리 칩을 모두 16 개 장착했으므로, 2x16=32GB 짜리 SSD가 된다.- 위의 그림을 보면, 비워둔 공간이 있는데, 거기에 2GB 짜리 플래시 메모리 칩을 16 개 더 장착하면, 64 GB 짜리 SSD가 되는 것이다.- 그 플래시 메모리 칩을 모두 4GB 짜리로 바꿔서 채운다면, 128 GB 짜리 SSD가 됨은 말할 것도 없다. - 그 내부 메커니즘이야 엄청 정밀하고 복잡하겠지만, 보이는 구조는 정말 간단하다, PCB 회로 기판에 반도체 칩을 붙여주기만 하면 되니 말이다. 이런 구조다 보니, 열도 덜 나고, 조용하고, 가볍고, 전력 소모도 줄어들고, 메모리 구조의 특성상 빠르고, 등등의 장점이 나타나는 것이다.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시대가 지는가?  (0) 2009.04.14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0) 2009.04.10
HDD 상식  (0) 2009.04.07
각종 확장자 파일 모음  (0) 2009.03.30
해커와 크래커의 차이점  (0) 2009.03.19
2009. 4. 7. 11:21

HDD 상식

1. HDD의 구조  

1) 컴퓨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라는 것을 들어 봤을 것이다.-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워드나 한글같은 오피스용 프로그램 등을 쓸 때, (저장)이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 등은 할 줄 안다.- 하드디스크는(보조 기억 장치)라고 하는데, 한 마디로 말하면, 컴퓨터를 껐을 때도 자료가 보존되는장치로서, 자료를 (저장)을 했을 때, 그 자료들이 저장되어 있는 공간이라도 보면 된다.

2) 컴퓨터를 조립하게 되면, 제일 먼저 운영체제(OS)를 깐다. 물론 컴퓨터를 사용 하다가 뭔가 문제가 생기면, (포맷)을 하게 되는데, 이때도 OS를 다시 깔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한글, 포토샵,3ds Max 등,  소위 Application이라고 하는 응용 프로그램들도 깔게 된다.- 이때 설치한다(깐다)는 것은 컴퓨터을 껐을 때도 지워지지 않고 계속 보존 되게 한다는 뜻인데, 그렇게 컴퓨터에 깐 것들은 모두 하드디스크(HDD)에 저장이 되는 것이다.- 즉, HDD라는 것이 없으면, 필요한 프로그램을 깔 수조차 없게 되는 것이다.

3) HDD의 내부 구조...

a) 플래터(Platter)- 그림에서 보는 바와같이, 플래터는 둥근 원판이다.-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또는 유리 등으로 만드는데, 그 표면은 자성체인 산화철로 막이 씌워져 있다.-HDD는 자성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인데, 그 산화철 표면에 자성이 있으면,(1)로, 없으면,(0)으로,기록되어서 data의 유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HDD를 분류할 때, 3.5인치 HDD 또는, 2.5인치 HDD 등으로 그 크기를 말할 때가 있는데, 이때 그 크기의 기준은 바로 플래터의 크기가 된다(3.5인치 HDD의 플래터의 실제 크기는 3.74인치).

b) 스핀들(Spindle)- 플래터의 중심을 잡아주고, 그 내부의 (스핀들 모터)로 플래터를 등속 회전시켜주는 장치이다.- HDD를 분류할 때, 5400rpm, 7200rpm, 10000rpm 등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RPM이란 것은 (분당 회전 속도)로서, 바로 일분에 플래터가 몇 회전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HDD는 플래터가 일정한 속도로 돌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헤드가 원하는 섹터를 찾아가는 것이므로, 스핀들 모터의 등속성은 중요하다.-그리고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 유저가 HDD의 성능을 파악할 때, 플래터의 분당 회전수인 RPM은 HDD의 가장 중요한 성능 판단 요소이기도 하다(빨리 돌수록 고성능 HDD가 된다).

c) 헤드(Head)- HDD는 (자성)으로 data를 저장하는 (자기 기록 장치)다.- 헤드는 바로 자성체를 (자화/소거)하는 방식으로 data를 (Writing/Deleting)해 주고, 저장된 자성(자화) data를 Reading하는 장치이므로, HDD의 핵심 장치라고 볼 수 있다.- 헤드를 만드는 기술은 시대에 따라, 회사에 따라 변해 왔는데, Giant Magnetic Resistance(거대 자기 저항) 방식의 GMR 헤드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수직 기록 방식)으로 바뀐 요즘은 Tunnel Magnetic Resistanc 방식의 TMR 헤드도 쓰이고 있단다.- 플래터 한 장에는 앞 뒤 양면으로 2 개의 기록면이 있는데, 각각의 기록 면마다 하나의 헤드가 있으므로, 플래터가 2 장인 HDD라면 물리적인 헤드는 4 개가 되고, (헤드의 수)를 (기록면의 수) 대신으로 쓰는 게 보통이다.

d) 헤드 암(Head Arm)- 헤드는 플래터와 붙어 있는 듯 보이지만, 그것은 작동 안 할 때, Parking Zone이라고 하는 곳에 머물러 있을 때 뿐이다.-일단 HDD가 작동이 되면, 스핀들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숨구멍)으로 공기가 들어오게 되는데, 적절한  공기압이 형성되면 헤드는 플래터 표면을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간격(약 0.1~0.5 미크론 정도 )으로 떠서 비행(Flying)을 하게 된다.- 이 비행 간격은 플래터의 (기록 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 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기록 밀도가 높아져서 고밀도의 플래터가 되는데, 헤드 암은 그런 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보이스코일 모터의 작동으로 인해서 헤드를 원하는 섹터로 가져다 주는 역할도 하므로, 단순한 팔 이상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e) 보이스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에 의해서 제어 신호가 들어오면, 헤드 암은 헤드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켜 준다고 했다.-그렇게 헤드를 구동시켜는 장치를 보이스코일 모터(스태핑 모터)라고 하는데 ,이 모터에는 수평으로 선 운동을 하는 선형 모터(linear motor)가 사용된다.- 위의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헤드 암의 중간 정도에 회전 기준 축이 있다. 보이스코일 모터는 헤드 암을 통해서 헤드와 연결이 되어 있는데, 보이스코일이 떨리면(움직이면) 그 축을 기준으로 해서 코일이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헤드를 움직여 원하는 섹터를 찾아가게 한다.- 음향 기기의 스피커에 관심이 있는 님들은, 스피커의 콘을 음악 신호에 맞게 떨리게 해서 음파를 발생시는 데, 보이스 코일이 사용되는 것을 알 것인데, HDD의 보이스 코일은 마치 스피커의 콘을 떨리게 하듯이 헤드 암을 떨리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같다. - 그리고 보이스코일 모터는 헤드 암을 구동시키는 장치라는 뜻에서 엑츄에이터(Actuator=헤드 구동 장치)라고도 한다.

f) 기타- HDD의 내부를 한번이라도 들여다 본 사람은 알겠지만, 플레터, 스핀들,헤드(암), 엑추에이터 등의 조합체인 Cartridge(카트리지) 밑면쪽으로 반도체 칩 등이 붙어 있는 회로 기판(PCB)이 있는 것을 봤을 것이다.- 여기에는  DMA용 chip,  Bios , Buffer memory chip, Control chip 등  그 외의 많은 부품들이 있어서, HDD를 작동시키는 메커니즘을 완성시킨다. 

 

2. HDD의 기록 원리


1) 쓰기 원리-- 위의 그림은 HDD의 GMR 헤드를 개념적으로 만들어본 것이다.- 어릴 때, (전자석)을 만들어 봤을 것이다. 철심에 코일을 감고, 코일 양쪽 끝을 건전지(전원)에 연결하면 철심에 자력이 생겨서 전자석이 되는 것을 보고 신기해 했던 기억이 난다.- 위의 왼쪽 그림을 보면, 코어(철심)에 코일이 감겨 있다.- ① 0과 1로 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의 전기 신호로 바뀌어서,'a'로 들어온다(GMR 헤드로 전기 신호가 들어왔단 뜻).- ② 그러면 전자석의 원리에 의해서, 'b'와 같이, 코어에 자력이 만들어진다. 보이스코일 모터(엑츄에이터)에 의해서 데이터를 기록할 플래터의 트랙 상의 어떤 섹터에 도착한 상태라고 가정을 해 보자.- ③ HDD의 플래터의 산화철 기록면은 자성을 가질 수 있다고 했으므로, 코어에 자력이 형성되는 순간에 해당 섹터 부분은 자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그림 'c'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이 되는 것이다.

2) 읽기 원리-- (유도전류)라는 말을 들어본 님이 계실 것이다. (페러데이)라는 과학자가 완성한 이론인데, 폐회로 형태의 코일 안에 자석을 넣다 뺐다 하면, 그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이다.- 위의 오른쪽 그림을 보면, 역시 코어에 코일이 감겨 있는 것은 동일하다.- ① 어떤 data를 읽으라는 명령을 받으면, 보이스코일 모터는 GMR 헤드를 읽어올 데이터가 있는 섹터로 이동시킬 것이다. 현재 그림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화철 기록면에는 데이터(자성)이 있는 상태이다.- ② GMR 헤드에는 코일이 감겨 있으므로, 'b'와 같이, 그 자력을 만나는 순간 마치 자석을 코일 내부로 넣다 빼는 효과가 생길 것이다.- ③ 결국 'c'와 같이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것이고, 이것이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서 전달이 됨으로써, 어떤 data를 읽은 것이 된다.

- 여기서 말한 (쓰기), (읽기) 원리는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실제와는 다를 수도 있다.

그 기본 원리는 비슷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만일 설명이 잘못되었다면, 지적을 해 주세요^^.

3) (저장)을 했을 때 파일을 쓰는 과정--① (한글) 프로그램에서 문서를 만들고 (저장)을 한다.- ② (한글)은 Windows XP 등의 윈도우즈(OS)에게 이 명령을 전달한다.-③ 윈도우즈는 그 명령을 다시 HDD Controller에게 보낸다. 현재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한글)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 직접 하드웨어(HDD)에 접근하지 못하고 이렇게 OS의 중개를 받는다. -④ 컨트롤러는 데이터(문서)를 저장하기 위해서 HDD의 FAT(파일 할당 테이블)을 검사하는데, FAT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빈 공간을 찾았으면, 컨트롤러는 그 곳을 윈도우즈에게 알려 준다.

-⑤ 저장할 공간의 주소를 전달받은 윈도우즈는 그 주소를 바이오스에게 전한다.- ⑥ 그러면 바이오스는 HDD에게 문서(데이터)를 그 주소에 담으라고 명령한다. 여기에서 HDD가 문서를 해당 주소의 공간에 쓰는 과정이 바로 위의 (1)의 쓰기 원리)에서 말한 과정이 될 것이다.- ⑦ 이런 쓰기 과정이 끝나면, 컨트롤러는 그 문서가 저장된 주소를 FAT에 기록해 두고 관리함 으로써, 똑같은 공간에 다른 데이터가 쓰여지는 일 등을 막을 수 있게 된다.


3. HDD의 기록 방식


1) 수평 기록 방식-- HDD 플래터의 산화철 기록면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 방향으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기록 방식은 만들기는 쉽지만 공간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수평 기록 방식은 자력이 (좌우 방향)으로 기록 되므로, 그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기술의 발달로 그 기록 밀도를 계속 높혀 올 수는 있었지만, HDD 하나의 용량이 1TB을 넘어가고 있는 요즘 그 한계에 이르러 뭔가 새로운 방식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수평 기록 방식은 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록한 후 10 년 정도 지나면, 인접한 자력 간에 간섭에 의하여 기록된 자화력이 약해짐으로써, 데이터가 지워지는 문제도 생긴다.

2) 수직 기록 방식 - 이 방식은 1976 년 일본 동북 대학교 교수인 이와사키에 의해서 이미 제창이 되었었는데, 그 기술 구현의 어려움과 실용성 등으로 인해서 오랫동안 큰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하드디스크가 점차 대용량화되어가는 추세 속에서 수평 기록 방식이 한계에 다다르자, 수직 기록 방식이 다시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위 그림을 보면, 수직 기록 방식은 (↕) 방향으로 데이터를 기록해서, 그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줌으로써, 기록 밀도를 높히기가 쉽고, 따라서 대용량으로 만들기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수평 기록 방식은 데이터를 세밀하게 기록할수록 인접한 데이터 사이에 간섭이 심해지는 반면, 수직 기록 방식은 이런 간섭 문제도 쉽게 해결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히고, 데이터의 무결성에 보다 근접할 수 있게 됐다.

 

4. 플래터의 구조와 HDD의 용량

1) 플래터의 구조-- 위의 그림은 플래터가 2 장인 하드디스크의 플래터와 헤드(암)을 개념적으로 만들어 본 것이다.- 하드디스크의 용량 등을 계산해 보려면, 트랙, 실린더, 섹터, 헤드(플래터의 한쪽 면) 등의 개념을 알아야 하므로, 아래에서 간단하게 설명해 보겠다.

a) 트랙(Track)- 그림에서 보는 바와같이, 플래터를 동심원으로 자른 부분이다.- 트랙은 물리적인 구조라기보다는, Low-Level Format을 해야 비로소 만들어지는 논리적인 구조이다. -제일 바깥쪽이 첫번째 트랙(0번)인데, 자료를 쓰거나 찾을 때, 몇 번째 플래터 표면의 몇번째 트랙(실린더)의 몇 번째 섹터라는 순서로 찾아가므로, 그 개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b) 실린더(Cylinder)- 플래터가 여러 개 있을 때, 같은 수직선 상에 있는 트랙들을 하나로 묶은 뭉치이다. 물론 플래터 하나의 양쪽면이 모두 기록면이 되는 게 보통이므로, 플래터가 하나라고 해도, 그 앞뒤쪽의 두 면의 같은 수직선 상의 트랙을 묶으면 역시 실린더가 된다.- 이렇게 트랙을 실린더로 묶어서 관리하는 것은 Head  Assembly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즉 헤드가 여러 개일 때, 그 헤드들은 하나로 묶어서 동시에 움직이는데(움직이는 것은 동시에 함께 움직여도 일은 각각 할 것이다), 저장하는 파일이 커서 하나의 트랙에 모두 저장할 수 없는 상태라면, 같은 플래터의 다른 트랙에 나눠서 저장하는 게 아니라, 다른 플래터에 있는 같은 수직선상의 트랙에 저장을 함으로써, 헤드를 더 움직이지 않고, 일할 수 있는 것이다.

c) 섹터(Sector)- 각각의 트랙들을 부채꼴 모양으로 다시 나눈 부분이다.- 섹터 하나는 512 Byte 크기를 가지는데, HDD의 플래터를 구분하는 최소 단위가 된다.- CMOS Bios 상 으로는 섹터 하나가 512B로 관리되지만, Windows같은 OS는 그것들을 다시 몇 개 묶어서 클러스터(Cluster)로 관리한다는 것도 알아두자(윈도우즈 버전에 따라 클러스터 크기 변화). - HDD가 작동될 때, 충격이 가해지면, 헤드에 의해서 섹터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렇게 손상된 섹터를 (Bad Sector)라고 하는데, 베드 섹터가 발생하면, HDD에 치명적인 하자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평소에 컴퓨터나 HDD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d) 헤드(Head)- 헤드에 대해서는 위의 HDD 구조에서 설명했다.- 그런데, 보통 플래터의 기록면 마다 헤드가 하나씩 있으므로 (플래터의 기록면)은 (헤드)라고 봐도 되겠다. 만일 플래터가 2 장이라면, 보통 각각의 플래터의 앞뒤면이 모두 기록면이 되므로, 그런 경우엔 기록면이 총 4 면이 되고, 따라서 헤드의 수도 4 개가 된다.- 하지만 CMOS Bios는 설계의 한계를 지니고 있어서, 트랙을 1024 개까지만 인식한단다.이래서는 요즘의 대용량 HDD를 제대로 인식할 수없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Head의 수를 가상으로 늘리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시스템의 정보를 알려주는  EVEREST같은 프로그램에서 알아보면, 헤드 수가 실제의 플래터의 면 수(헤드 수)와 다르게 보통 16 개로 잡히는 것은 그래서이다.

2) MBR과 부트 섹터 이야기...

a) MBR-Windows에서는 보통 하드디스크를 (MBR→ Boot Sector→ VFAT→ Root Folder → Data Area) 영역으로 구별해서 관리한다.- 여기서 MBR이라고 하는 것은 Master Boot Record의 약자로, 이것은 하드디스크의 첫번 째 위치인 0번 실린더, 0번 헤드, 1번 섹터에 존재한다.-이 위치는 고정적으로 주어지는데, 만일 파티션을 여러 개로 나눴다면, MBR의 (파티션 테이블)이라는 것에 그 정보가 기록되고, 운영체제(OS)를 여러 개 설치해서 Multi - Booting으로 쓰고 있다면, 각 OS들이 부팅되는 순서도 MBR에 기록되게 된다.

b) 부트 섹터(Boot Sector)- MBR은 파티션 보다 앞쪽에 있기 때문에 파티션 작업이나 포맷 등에서 취급되는 영역이 아니다. 파디션 작업을 하거나,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면, MBR의 정보가 바뀌기는 하지만, 그 안의 정보를 보거나 변경할 수 없다.- 그래서 첫번 째 섹터라고 하면, 부트 섹터를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부트 섹터에는 시스템이 부팅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파일들이 기록되므로, 이것이 베드 섹터가 되면 부팅이 어려워진다.


3) 용량 계산 예...

a) 현재 이 글을 쓰고 있는 내 시스탬에는 3 개의 HDD(80GB/ 200GB/ 320GB)가 설치되어 있어서 총 600GB의 용량을 쓰고 있다.- HDD 3 개에 600GB 용량이라는 소리를 들으면, 많다고 느끼는 님들도 있겠지만, 쓰는 사람은 늘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500GB 짜리 HDD가 보통이고, 심지어는 1TB 짜리 HDD도 흔해진 세상이다.- 그럼 이런 HDD의 용량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일까?

b) (HDD 용량 계산)이라는 말로 인터넷 검색을 해 보면, (실린더 수x 헤드 수x 트랙당 섹터 수 x 섹터 하나의 크기(512Byte))라고 검색이 된다.- 위의 그림은 (EVEREST)라는 프로그램으로 내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부분을 본 그림이다.- 3 개의 HDD 중에서 (시게이트) 사에서 만든 200GB 짜리 HDD의 정보를 보면, (실린더 수)는 (387621), (헤드 수)는 (16), (트랙 당 섹터 수)는 (63), (섹터 하나의 크기)는 (512Byte)라고 나오는데, 이걸 모두 곱한 다음에, 10의 9 승인 GB 단위로 환산해 주기 위해서 1000,000,000으로 나누면, 정확하게 200GB가 계산된다.- 그런데, 그림 f와 g를 보면, (디스크=플래터)는 2 장이고, (기록 표면=헤드)는 4 개라고 나오는데, 계산에 쓰인 b를 보면 (헤드)가 (16 개)로 잡히고 있다.- 이것은 위에서도 잠깐 말했지만, 대용량의 HDD를 인식 시키기 위해서 헤드를 가상으로 늘려줬기 때문이다(소위 LBA 모드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c) 윈도우즈에서 HDD 용량이 조금 작게 잡히는 이유--(200GB짜리 HDD를 샀는데 186GB로만 잡혀요)라는 질문을 하는 님들이 가끔 있다. 14GB를 도둑 맞은 느낌일테니, 기분이 찜찜 한 것은 당연하다.- 이런 문제가 생기는 이유는 하드디스크 회사에서는 용량을 표시할 때, 10 진수 단위를 써서 GB로 환산할 때, 1000x1000x1000으로 나누어 줌으로써 200GB라는 용량이 계산되지만, 윈도우즈에서는 그것을 2 진수 단위로 환산하기 때문이다.- 즉 1000이라는 단위수를 2의 10승인 1024로 바꿔 써서, 200,000,000,000Byte/1024x1024x1024=약 186 Giga Byte가 되는 것이다. 즉, 좀 억울하겠지만, 윈도우즈에서160GB→149GB로, 200GB→186GB로 인식되는 건 정상이다.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0) 2009.04.10
SSD 상식  (0) 2009.04.07
각종 확장자 파일 모음  (0) 2009.03.30
해커와 크래커의 차이점  (0) 2009.03.19
윈도우 xp 블루스크린 에러코드 모음  (1) 2009.03.10
2009. 3. 30. 16:02

각종 확장자 파일 모음

A
01. adf : 어댑터 서술 파일
02. afm : 어도비 폰트 매트릭스 파일
03. ais : 압축 유틸ain을 사용해 만든 파일
04. ani : 애니메이션 커서의 모양을 움직이는 파일
05. aif : 매킨토시에서 소리를 녹음하거나 들을 때 사용하는 파일
06. and :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중 하나인 로터스 1-2-3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유틸리티 파일
07. ann : 주석파일로 삭제해도 된다
08. ans : 텍스트 파일의 일종
09. asp : MS웹 서버에서 사용하는 홈페이지 파일
10. asm : 어셈블리 언어의 소스를 담은 파일
11. asc : 아스키 텍스트 파일
12. arj : 압축 유틸리티 ARJ 로 압축한 파일
13. asv : 일정시간마다 자동 저장되는 파일
14. avi : MS에서 만든 동영상 파일로, 압축률이 낮다


B
01. bak :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면 이전 파일을 보관하기위해 만들어지는 백업파일
02. bas : 베이직 언어의 소스파일
03. bat : 도스파일로, 여러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실행할 때 사용된다
04. bgi : 볼랜드 그래픽 인터페이스 파일
05. bin : 실행파일의 보조파일
06. bk! : 백업파일
07. bmp : 기본적인 그래픽파일, 압축이 전혀 안됨
08. bnk : 악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뱅크파일
09. btm : 4dos용 배치파일


C

01. cab : MS에서 프로그램을 공급할 때 사용하는 압축파일
02. cap : 통신프로그램에서 갈무리할 때 주로 사용
03. cat : 카탈로그 파일
04. cbl : 코볼의 소스 파일
05. cch : 코렐 드로용 차트 데이터 파일
06. cda : 윈도우에서 음악 한곡을 표현할 수 있는 파일
07. cdr : 코렐 드로용 그래픽 파일
08. cdt : 코렐 드로용 서식 파일
09. cfg : 환경설정을 하는데 이용하는 파일
10. cgm : 컴퓨터 그래픽 메타파일
11. chk : 도스의 디스크검사에서 chkdsk를 실행했을 때 결과로 만들어지는 파일
12. clp : 윈도의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파일로 만들 때 사용하는 파일
13. cmd : 실행프로그램의 보조 프로그램 파일
14. cmx : 코렐 드로용 그래픽 파일
15. cnf : 환경설정을 하는데 이용하는 파일
16. cnt : 목차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
17. cod : 코볼의 소스파일
18. com : 실행파일의 한가지로 exe보다 메모리가 적고 속도가 빠르지만 크기가 64Kb미만이다
19. cpe : 팩스의 표지같은 문서 표지 파일
20. cpi : 국가코드 페이지 정보파일
21. cpl : 제어판에 실행파일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아이콘파일
22. cpp : c++위 소스코드 파일
23. cps :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
24. crd : 카드 데이터 파일
25. cut : 도스에서 사용하던 그래픽 프로그램의 파일
26. cur : 마우스 커서 파일


D

01. dat : 실행프로그램이나 비디오 씨디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파일
02. db : 데이터 베이스 파일
03. dbf : db의 기능을 확장한 파일형식
04. dct : 사전파일
05. dde : 동적 데이터 교환파일
06. ddi : 디스크 이미지 파일
07. def : 특정 내용을 보관해 두는 정의 파일
08. dem: 데모 파일
09. des : 설명 파일
10. dhp : 닥터할로의 그림 파일
11. dib : 비트맵 파일
12. dic :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사전 파일
13. dir : Mdir용 디렉토리 정보 파일
14. diz :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소개 및 제작사 설명 파일
15. dll : 여러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모아놓은 파일
16. doc : MS워드 및 윈도우의 워드패드에서 사용하는 파일
17. dot : MS워드의 서식 파일
18. drv :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파일
19. drw : 마이크로그래픽스 디자이너의 그래픽 파일
20. dta :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21. dvrl : 주변장치 드라이버 파일
22. dwg : 오토캐드의 설계 밑그림 파일


E

01. eml : 전자우편 파일
02. enc : 인코딩된 파일
03. eng : 영문 글꼴 파일
04. eps : 포스트스크립트 그래픽 파일
05. exe : 기본적인 실행파일
06. exp : 오토캐드용 드라이버 파일


F

01. fax : 팩스 파일
02. flc :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되는 동영상 파일
03. fli : 동영상 파일
04. flt : 필터 파일
05. fon : 기본 글꼴
06. for : 포트란의 소스 파일
07. fot : 트루타입 폰트 스타일 파일
08. frm : 한글파일


G

01. gal : 이야기에서 사용하는 파일
02. gif : 애니메이션이나 웹사이트에서 아이콘을 만들 때 사용되는 파일
03. gly: 요약한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
04. grf : 그래픽 파일
05. gz : 공개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압축파일


H

01. hdr : 한그림용 데이터 파일
02. hft : 한글에서 사용하는 글꼴 파일
03. hgx: 매킨토시 압축 포맷
04. hlp : 프로그램의 도움말 파일
05. hst : 히스토리 파일
06. htf : 한글에서 사용하는 글꼴 파일
07. htm : 홈페이지 만드는 텍스트파일
08. html : 홈페이지 만드는 텍스트파일
09. hwp : 한글에서 저장한 문서 파일
10. hwt : 한글의 문서마당 파일


I

01. icn : 윈도아이콘 파일
02. ico : 윈도아이콘 파일
03. idx: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파일
04. iff : 아미가 그래픽 파일
05. img : 디스크 이미지의 그래픽 파일
06. ims : 음악 데이터 파일
07. ind :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파일
08. inf : 설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09. ini : 각종 설정 값을 저장한 파일


J

01. jas : JAS로 압축된 그래픽 파일
02. jpg : GIF의 단점을 개선한 그래픽 파일


K
01. key : 키보드 정의 파일
02. kor : 한글 글꼴 파일
03. ksr : 이야기의 디렉터리 정보 파일


L

01. lbm : 도스용 파일
02. lbr : 라이브러리 파일
03. leml : MS의 인터넷 메일에서 지정한 파일
04. lib : 라이브러리 파일
05. lnk : 단축아이콘 파일
06. lnws : 인터넷 뉴스에서 저장한 파일
07. log : 프로그램 실행결과를 저장한 파일
08. lst : 목록 파일
09. lurl : 단축아이콘의 일종
10. lzh : 압축 파일


M

01. mac : 매킨토시 그래픽 파일
02. man : 사용설명서 파일
03. mda : MS의 액세스 기능추가 파일
04. mdb : MS의 액세스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파일
05. mdf : 메뉴정의 파일
06. mdn : MS의 액세스의 서식 파일
07. mdz : MS의 액세스 마법사 파일
08. me : 프로그램 안내 파일
09. men : 메뉴 파일
10. met : 윈도 메타 파일
11. mid : 미디용 음악 파일
12. mif : 관리정보 파일
13. mnu : 메뉴 파일
14. mod : 음악파일
15. mov : 애플에서의 동영상 파일
16. mpg(mpeg) : 압축률이 높은 동영상
17. mp3 : wav의 개선 압축 음악 파일
18. ms : 그래픽 파일
19. msg : 메시지 파일
20. msp : 그래픽 파일


N

01. new : 프로그램에 새로 추가된 파일
02. ncf : 명령어 파일
03. ndx :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파일
04. ncd : 디렉터리 정보 파일


O

01. ori : 원본 파일
02. opt : 옵션 파일
03. old : 이전 버전의 백업 파일
04. ocx : 라이브러리 파일
05. obd : 여러 가지 파일을 묶는 바인더 파일
06. ovr : 오버레이 파일
07. ovl : 오버레이 파일
08. out : 외곽선 정보를 가진 파일


P

01. pho : 전화번호 목록 파일
02. pgp : 오토캐드의 인자정보 파일
03. pfm : 프린터 글꼴 매트릭스 파일
04. pfb : 프린터 글꼴 바이너리 파일
05. pdx : 데이터 파일
06. pdr : 한글용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
07. pdf: 어도비에서의 문서 파일
08. pcx : 페인트브러쉬의 그래픽 파일
09. pcd : cd포맷에 알맞은 파일
10. pat : 프로그램 패치 파일
11. pas : 파스칼 소스 파일
12. pal : 색상정보 파일
13. pak : 유닉스용 압축 파일
14. pic : 페인트 브러쉬 파일
15. pif : 프로그램 정보 파일
16. pll : 사전링크 라이브러리 파일
17. pm5 : 페이지 메이커 5의 문서 파일
18. png : jpg처럼 압축률은 높인 그래픽 파일
19. ppd :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 서술 파일
20. ppt : 파워포인트 데이터 파일
21. prd :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
22. prf : 등록정보 담은 파일
23. prg : 프로그램 파일
24. prj : 프로젝트 파일
25. pro : 프로파일 파일
26. ps : 어도비에서 만든 이미지 글꼴 파일
27. psd : 포토샵의 데이터 파일
28. psz : 유닉스에서 사용하던 압축 파일
29. pub : 탁상출판 그래픽 파일


Q

01. qxd : 문서 파일


R

01. ra : 리얼오디오 파일
02. ram : 리얼오디오 파일
03. rar : 압축 윈라르의 압축 파일
04. ras : 이미지 그래픽 파일
05. rec : 리코더 파일
06. ref : 프로그램의 참조 파일
07. reg : 레지스트리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파일
08. res : 프로그램의 리소스 파일
09. rol : 음악 파일
10. rtf : 문서 파일


S

01. sc : 통신프로그램의 스크립트 파일
02. sav : 백업 파일
03. scf : 통신프로그램의 스크립트 파일
04. scr : 화면보호기 파일
05. sdf : 표준 데이터 파일
06. s3m : 음악 파일
07. sys : 시스템 운영 파일
08. sdr : 한글용 화면 드라이버 파일
09. sea : 자동압축 풀림 파일
10. set : 환경 설정 파일
11. smp : 견본 파일
12. snd : 일반적인 소리 파일
13. src : 소스 파일
14. spl : 철자 정보 파일
15. srp : 스크립트 파일
16. sts : 시스템 점검 결과보고 파일
17. sty : 한글 스타일 정보 파일
18. swp : 임시 스왑 파일
19. sym : 심볼 파일


T

01. tar : 여러파일을 묶은 파일
02. tbk : 멀티미디어 저작 데이터 파일
03. tga : 그래픽 파일
04. tgz : 압축 파일
05. tif : jpg같은 압축률이 좋은 그래픽 파일
06. tiff : 그래픽 파일
07. tmp : 윈도우 정상 실행될 때 임시 생성 파일
08. trm : 하이퍼터미널 정보 파일
09. tst : 테스트 결과 정보 저장 파일
10. ttf : 윈도우용 트루타입 폰트 파일
11. txt : 기본 문서 파일


U

01. upt :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정보 담은 설명서 파일
02. uue : 인코딩된 파일


V

01. vbx : 비쥬얼 베이직 파일
02. voc : 음성 소리 저장 파일
03. vxd :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


W

01. vbx : 비쥬얼 베이직 파일
02. voc : 음성 소리 저장 파일
03. vxd :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


X

01. xlm : 엑셀 파일
02. xll : 엑셀 파일
03. xlk : 엑셀 백업 파일
04. xld : 엑셀 파일
05. xlc : 엑셀 차트 파일
06. xlb : 엑셀 파일
07. xla : 엑셀 파일
08. xbm : 윈도우 흑백 비트맵 그래픽 파일
09. xls : 엑셀 저장 파일
10. xlt : 엑셀 서식 파일
11. xlv : 엑셀 파일
12. xlw : 엑셀 파일
13. xpm : 윈도우 컬러 그래픽 파일


Z
01. zip : 압축 파일
02. zool : 압축 파일


Etc.

01. $$$ : 임시생성 파일
02. 000 : 4도스에서 만드는 임시 스왑 파일
03. 386 : 윈도우 386 확장모드 드라이버 파일
04. 1st : 프로그램 사용설명서가 들어 있는 파일
05. 3ds : 3D그래픽 프로그램의 편집용 밑그림 데이터 파일
06. 8b* : 어도비 데이터 파일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 상식  (0) 2009.04.07
HDD 상식  (0) 2009.04.07
해커와 크래커의 차이점  (0) 2009.03.19
윈도우 xp 블루스크린 에러코드 모음  (1) 2009.03.10
IE 8 - 얼마나 빠를까?  (0) 2009.02.26